개발관 3년차에는 내가 어떤 개발자가 되고 싶은지 명확한 개발관이 생겼다. 나는 기술에 매몰되어 가는 개발자였다고 생각한다. 그동안의 나는 기술을 쫓았고, 트렌드를 따라가려 했으며, 깊이를 더하기 위해 노력을 해왔던 것 같다. 물론 이것은 개발자로서는 당연한 것들이다. 올해 많이 깨져버린 것은, 이것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는 것이다. 3년차에서 가장 머리 속에 깊게 남는 말은 팀장님께 들었던 이 말이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이런 뉘앙스?) "용근님이 처음 작성하신 코드가 더 효율적이고, 더 좋은 기술로 안정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구성원 모두 함께 할 수 있는 개발을 해야한다." 처음에는 많이 아이러니 했다. 왜냐하면 팀장님은 내가 알고 있는 실력 있는 개발자 중에서도 탑급이였기 때문이다. 기술력이..
개발자의 개인 장난감인 토이 프로젝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웹 개발 입문과 거의 동시에 토이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이 프로젝트들을 통해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토이 프로젝트를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었는지에 대하여 말해보려고 합니다. 토이 프로젝트란? 토이 프로젝트가 무엇일까요? 크고 간단하게 2가지로 나눈다면 이렇습니다. 1. 여유시간만 투자한다. 본업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여유시간을 투자해야합니다. 2. 어떠한 목적을 달성한다. 기능, 스펙, 규모, 일정에 대한 제약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런칭 혹은 배포도 마찬가지입니다. 프로젝트가 반드시 런칭되거나 배포될 필요는 없습니다. 이것은 내가(혹은 우리가) 프로젝트의 목적을 무엇으로 ..
개발자에게 재능기부란? 재능기부를 가장하여 기술 사용과 습득의 목마름을 해소한 경험(자기개발?)을 기록으로 남겨봅니다.본 내용에서 최대한 기술적인 이야기를 빼려고 노력했습니다.기술 사용과 습득의 목마름..AWSAWS를 다룰 줄 아는 것이 기술스택이 된 요즘에 개발자로서 AWS를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들 하고 있을 것 입니다. 저도 오래 전부터 그런 생각을 가지고 세미나도 참여해보고, 관련 이론들도 찾아보고 했지만, 역시 개발자는 직접해보는 것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그렇지만! EC2에 어플리케이션 한번 올려보고, S3에 파일 한번 올려보면 끝인 것일까요? 웹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며 localhost:8080을 띄우고 끝이라는 상황과 비슷하지 않을까요?아쉽지만, 제 주변에는 AWS를 운용하고 있는 환경이 ..
주니어개발자의 버그 트래킹 일지입니다!주 내용은 웹 서비스의 세션을 Membase(현재의 Couchbase)로 관리하면서 발생한 이슈입니다. 이슈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기록으로 남깁니다.버그 트래킹 일지(1) - 시작은 사전지식 확보부터 버그 트래킹 일지(2) - 로그를 보자! 버그 트래킹 일지(3) - 임시방편보단 장기적으로 버그 트래킹 일지(4) - 의심하고 또 의심하자 버그 트래킹 일지(5) - 대망의 적용 배포 그리고 결론버그트래킹 환경Membase ServerVersion : 1.7.2Node4개노드당 Replica 2개노드당 할당 메모리 2GBBucket1개메모리 8GB(노드당 메모리 * 노드 수)각 서버 스팩RAM 8GBHDD 30GBWEB ServerSpring Boot Web Appli..
주니어개발자의 버그 트래킹 일지입니다!주 내용은 웹 서비스의 세션을 Membase(현재의 Couchbase)로 관리하면서 발생한 이슈입니다. 이슈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기록으로 남깁니다.버그 트래킹 일지(1) - 시작은 사전지식 확보부터 버그 트래킹 일지(2) - 로그를 보자! 버그 트래킹 일지(3) - 임시방편보단 장기적으로 버그 트래킹 일지(4) - 의심하고 또 의심하자 버그 트래킹 일지(5) - 대망의 적용 배포 그리고 결론버그트래킹 환경Membase ServerVersion : 1.7.2Node4개노드당 Replica 2개노드당 할당 메모리 2GBBucket1개메모리 8GB(노드당 메모리 * 노드 수)각 서버 스팩RAM 8GBHDD 30GBWEB ServerSpring Boot Web Appli..
주니어개발자의 버그 트래킹 일지입니다!주 내용은 웹 서비스의 세션을 Membase(현재의 Couchbase)로 관리하면서 발생한 이슈입니다. 이슈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기록으로 남깁니다.버그 트래킹 일지(1) - 시작은 사전지식 확보부터 버그 트래킹 일지(2) - 로그를 보자! 버그 트래킹 일지(3) - 임시방편보단 장기적으로 버그 트래킹 일지(4) - 의심하고 또 의심하자 버그 트래킹 일지(5) - 대망의 적용 배포 그리고 결론버그트래킹 환경Membase ServerVersion : 1.7.2Node4개노드당 Replica 2개노드당 할당 메모리 2GBBucket1개메모리 8GB(노드당 메모리 * 노드 수)각 서버 스팩RAM 8GBHDD 30GBWEB ServerSpring Boot Web Appli..
주니어개발자의 버그 트래킹 일지입니다!주 내용은 웹 서비스의 세션을 Membase(현재의 Couchbase)로 관리하면서 발생한 이슈입니다. 이슈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기록으로 남깁니다.버그 트래킹 일지(1) - 시작은 사전지식 확보부터 버그 트래킹 일지(2) - 로그를 보자! 버그 트래킹 일지(3) - 임시방편보단 장기적으로 버그 트래킹 일지(4) - 의심하고 또 의심하자 버그 트래킹 일지(5) - 대망의 적용 배포 그리고 결론버그트래킹 환경Membase ServerVersion : 1.7.2Node4개노드당 Replica 2개노드당 할당 메모리 2GBBucket1개메모리 8GB(노드당 메모리 * 노드 수)각 서버 스팩RAM 8GBHDD 30GBWEB ServerSpring Boot Web Appli..
주니어개발자의 버그 트래킹 일지입니다!주 내용은 웹 서비스의 세션을 Membase(현재의 Couchbase)로 관리하면서 발생한 이슈입니다. 이슈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기록으로 남깁니다.버그 트래킹 일지(1) - 시작은 사전지식 확보부터 버그 트래킹 일지(2) - 로그를 보자! 버그 트래킹 일지(3) - 임시방편보단 장기적으로 버그 트래킹 일지(4) - 의심하고 또 의심하자 버그 트래킹 일지(5) - 대망의 적용 배포 그리고 결론버그트래킹 환경Membase ServerVersion : 1.7.2Node4개노드당 Replica 2개노드당 할당 메모리 2GBBucket1개메모리 8GB(노드당 메모리 * 노드 수)각 서버 스팩RAM 8GBHDD 30GBWEB ServerSpring Boot Web Appli..
이제 막 1년을 넘긴 1년차 웹 개발자입니다. 지금까지를 뒤돌아보며, 생각을 정리하기 위하여 글을 작성합니다.웹 개발자가 되기까지웹 개발을 시작한기 전에 반년 정도 반도체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했습니다.왜? 핑계아닌 핑계를 대보자면.. 보안 분야에 올인한 친구들이랑 함께하다보니 4학기 동안 모든 프로젝트의 9할을 개발했고, 웹 개발 쿼리큘럼에 벗어난 수업에서도 다수 개발 했고, 하다보니 일단 개발은 많이 한 것 같은데 내가 무슨 개발을 하는지 모르는 개발자가 되어있었습니다. 후회가 많이 남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조금 더 빨리 내가 하고 싶은 개발이 뭔지 알았으면 좋았을껄이라고 가끔 생각합니다. 아무튼 결국 내가 무슨 개발을 하는지도 모르는 개발자로 반년을 개발하다가 깨달음을 얻고, 운좋게 알고리즘을..